공무원 봉급표 2026 (초중등 교사, 교수) 정리하여 말씀 드리겠습니다. 2026년 교원 월급은 어떻게 변할까요? 정부는 내년도 공무원 보수를 3.5% 인상하기로 결정하면서, 교원 역시 동일하게 적용을 받습니다. 이는 2017년 이후 9년 만의 최대폭 인상으로, 교원의 봉급 체계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전망입니다.
교원 월급은 어떻게 결정될까?
교원의 월급은 호봉제에 따라 정해집니다. 신규 교사(1호봉)는 가장 낮은 급여에서 시작하지만, 매년 근속에 따라 호봉이 올라가며 급여가 상승합니다. 또한 기본 봉급 외에 다양한 수당이 더해져 실제 수령액이 결정됩니다.
- 기본 봉급: 호봉별로 책정
- 정근수당: 근속 연수에 따라 추가 지급
- 명절휴가비: 설·추석 때 기본급 비율로 지급
- 교직수당: 교사라는 직무 특성상 별도 지급
- 가족수당, 시간외근무수당 등 각종 부가 수당
2025년 교사 봉급 기준
2025년 기준, 교원 1호봉의 기본 봉급은 약 191만 원 수준이었습니다. 근속 10년 차 교사의 봉급은 약 238만 원, 20년 차는 336만 원, 30년 차 교사는 466만 원까지 올라갑니다. 이 수치는 기본급 기준이며, 수당을 합산하면 실수령액은 이보다 높습니다.
공무원 봉급표 2026
초등,중등,고등학교 교사
호봉 | 2026년 예상 봉급 |
1 | 2,268,200원 |
2 | 2,301,100원 |
3 | 2,334,700원 |
4 | 2,369,100원 |
5 | 2,404,200원 |
6 | 2,439,900원 |
7 | 2,476,500원 |
8 | 2,513,800원 |
9 | 2,551,800원 |
10 | 2,590,500원 |
11 | 2,629,900원 |
12 | 2,670,100원 |
13 | 2,711,000원 |
14 | 2,752,600원 |
15 | 2,794,900원 |
16 | 2,838,000원 |
17 | 2,881,800원 |
18 | 2,926,300원 |
19 | 2,971,500원 |
20 | 3,017,400원 |
21 | 3,064,100원 |
22 | 3,111,500원 |
23 | 3,159,600원 |
24 | 3,208,500원 |
25 | 3,258,100원 |
26 | 3,308,400원 |
27 | 3,359,400원 |
28 | 3,411,200원 |
29 | 3,463,600원 |
30 | 3,516,800원 |
31 | 3,570,800원 |
32 | 3,625,400원 |
33 | 3,680,800원 |
34 | 3,736,900원 |
35 | 3,793,700원 |
36 | 3,851,200원 |
37 | 3,909,500원 |
38 | 3,968,500원 |
39 | 4,028,200원 |
40 | 4,088,700원 |
2026년에는 3.5% 인상률이 적용되므로, 주요 호봉별 봉급은 다음과 같이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 신규 교사(1호봉): 191만 원 → 약 198만 원
- 10년 차 교사(10호봉): 238만 원 → 약 246만 원
- 20년 차 교사(20호봉): 336만 원 → 약 348만 원
- 30년 차 교사(30호봉): 466만 원 → 약 482만 원
이는 기본급 기준이며, 각종 수당이 더해지면 실제 월급은 더 올라갑니다. 예를 들어 담임수당, 교직수당, 시간외근무수당 등을 고려하면 신규 교사도 220만~230만 원, 10년 차 교사는 300만 원대 수령이 가능합니다.
국립대학 교원(교수)
호봉 | 2026년 예상 봉급 |
1 | 2,598,400원 |
2 | 2,680,000원 |
3 | 2,764,000원 |
4 | 2,850,200원 |
5 | 2,938,900원 |
6 | 3,029,900원 |
7 | 3,123,400원 |
8 | 3,219,300원 |
9 | 3,317,500원 |
10 | 3,418,100원 |
11 | 3,521,100원 |
12 | 3,626,400원 |
13 | 3,734,200원 |
14 | 3,844,300원 |
15 | 3,956,800원 |
16 | 4,071,700원 |
17 | 4,189,000원 |
18 | 4,308,600원 |
19 | 4,430,600원 |
20 | 4,555,000원 |
21 | 4,681,800원 |
22 | 4,811,000원 |
23 | 4,942,500원 |
24 | 5,076,500원 |
25 | 5,212,800원 |
26 | 5,351,500원 |
27 | 5,492,500원 |
28 | 5,636,000원 |
29 | 5,781,800원 |
30 | 5,929,000원 |
31 | 6,080,600원 |
32 | 6,233,600원 |
33 | 6,388,900원 |
교사 연금과 퇴직수당에도 영향
교사의 기본 봉급 인상은 단순한 월급 상승에 그치지 않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산정되는 공무원 연금과 퇴직수당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즉, 2026년 인상분은 현재 재직 교사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연금 수령액까지 늘어나는 효과가 있습니다.
👉2026년 일반직 공무원 봉급표 (호봉, 등급별 월급)
2026년 교사 처우 개선 기대
정부는 교사의 근무 여건 개선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2026년에는 봉급 인상과 함께 육아휴직수당 상향, 배우자 임신검진 휴가 등 복지 제도 확대도 병행됩니다. 또한 교육현장의 업무 부담 완화를 위해 시간제 강사 지원 확대, 행정업무 경감 방안도 추진 중입니다.
정리
2026년 교사 월급은 전년 대비 3.5% 인상되며, 신규 교사는 약 198만 원, 10년 차는 246만 원, 30년 차 교사는 482만 원의 기본 봉급을 받게 됩니다. 수당을 포함하면 실수령액은 이보다 훨씬 높아집니다. 이번 인상은 교사들의 사기 진작과 함께, 장기적으로 연금·퇴직수당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