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 국가장학금 지원제도 4가지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가장 헷갈려하는 부분이 “대학원생도 국가장학금이 나오나요?”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국가장학금 Ⅰ유형·Ⅱ유형은 대학원생에게 지급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대학원생이 받을 수 있는 다른 국가·교내 장학 제도는 분명 존재하므로, 이 글에서 정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대학원생 국가장학금

대학원생도 국가장학금 Ⅰ·Ⅱ유형을 신청할 수 있을까?

불가능합니다. 국가장학금 Ⅰ유형(학생 직접지원형), Ⅱ유형(대학 연계지원형)은 “학부생 전용” 제도입니다.

  • 학부생(신입생·재학생·편입생) → 신청 가능
  • 대학원생(석사·박사) → 신청 불가

따라서 대학원생은 ‘국가장학금’이 아니라, 대학원 전용 장학 제도를 이용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대학원생은 어떤 장학금을 받을 수 있을까?

대학원생이 실제로 받을 수 있는 장학금은 아래 4가지가 대표적입니다. 이 네 가지는 실제 대학원에서 가장 많이 운영되며, 정부·연구실·학교가 연계된 제도입니다.

  • BK21 FOUR(4단계 두뇌한국21)
  • 이공계 대학원생 장학(국가연구재단·과기정통부)
  • 조교장학(TA/RA)
  • 교내 대학원 장학금

BK21 FOUR 장학금은 누가 받을 수 있나요?

BK21 FOUR는 교육부가 지원하는 대표적인 대학원 연구장학 프로그램입니다. 하지만 모든 대학원생이 받는 장학금이 아니라, ‘BK21 사업단에 참여 중인 학과·연구실’의 전일제 대학원생만 받을 수 있습니다.

  • 석사: 월 70~100만 원 수준
  • 박사: 월 130~160만 원 수준
  • 전일제(full-time) 연구활동 필수
  • 참여 교수 연구실 소속이어야 가능

즉, 본인이 들어갈 연구실이 BK21 사업에 포함되어 있는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이공계 대학원생 장학은 어떤 제도인가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가연구재단(NRF)이 운영하는 이공계 전용 대학원 장학제도입니다.

  • 자연과학·공학 계열 대학원생 대상
  • 등록금 지원 또는 연구활동 장학금 지급
  • 정부 R&D 과제 참여자 우대

이공계 분야라면 BK21과 함께 이 장학금 지원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조교장학(TA/RA)은 어떻게 받나요?

대학원생에게 가장 흔한 장학금입니다.

  • TA : 강의·실습·시험관리 등 교수 수업 보조
  • RA : 연구실 실험·논문·연구 참여

조교 활동 시간만큼 등록금 감면 또는 생활비 장학금을 받을 수 있으며, 학교·학과·연구실에 따라 금액과 조건이 크게 다릅니다.

교내 대학원 장학금은 어떤 방식인가요?

학교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장학금입니다. 학과와 대학원별로 종류가 다양합니다.

  • 등록금 30~100% 감면 장학금
  • 성적 장학금
  • 연구 장학금
  • 장학재단 연계 장학금

대학원마다 운영 방식이 전부 다르기 때문에, “자신이 진학할 대학원 홈페이지 → 장학 안내 페이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대학원 갈 때 국가장학금 수혜횟수는 이어질까?

아닙니다. 학부생 때의 수혜기록은 대학원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국가장학금 수혜횟수는 학부 과정에만 적용됩니다.

  • 학부에서 5회 수혜 → 대학원에서는 별도 장학 체계
  • 대학원 장학금은 전부 새로운 기준으로 심사

결론: 대학원생은 국가장학금 대신 ‘연구·교내 장학’이 핵심

핵심만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국가장학금 Ⅰ·Ⅱ유형은 학부생 전용 → 대학원생 신청 불가
  • 대학원생은 아래 4가지 장학금이 실제 적용됨
  • BK21 FOUR — 전일제·참여학과만
  • 이공계 대학원 장학 — 자연과학·공학 전용
  • 조교장학(TA/RA) — 대학원생 가장 많이 받는 장학
  • 교내 대학원 장학금 — 대학마다 종류 다양

대학원 진학을 앞두고 있다면, “내가 가는 학과가 BK21인지?” “조교 장학이 얼마나 열려 있는지?” “교내 장학 감면률이 어떻게 되는지?” 이 세 가지를 먼저 확인해야 실제 장학 혜택을 가장 크게 받을 수 있습니다.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