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를 신청하려는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질문은 “하루에 얼마를 받을 수 있나요?”입니다. 2025년 실업급여 상한액과 하한액은 고용노동부가 매년 발표하는 최저임금과 법령 기준에 따라 정해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업급여 산정 방식부터 상·하한액까지 쉽게 풀어서 안내드립니다.
2025 실업급여 상한액·하한액 요약
- 최고 지급액(상한액): 1일 66,000원
- 최저 지급액(하한액): 1일 64,192원
- 지급 기간: 최소 120일 ~ 최대 270일
실업급여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실업급여(구직급여)는 기초일액 × 60%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기초일액이란 퇴사 직전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정한 금액입니다. 단, 평균임금을 계산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통상임금 또는 기준보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기초일액이 너무 낮게 산정되면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보정해주고, 너무 높게 산정되면 상한선을 둡니다. 이렇게 해서 ‘구직급여일액’이 확정됩니다.
2025년 실업급여 상한액은 얼마인가요?
2025년 고용보험법에 따른 기초일액 상한은 11만 원입니다. 따라서 실업급여 계산식(기초일액 × 60%)을 적용하면, 일일 최대 실업급여는 66,000원이 됩니다.
즉, 아무리 평균임금이 높아도 하루 66,000원 이상 받을 수는 없습니다. 이 금액이 상한액입니다.
2025년 실업급여 하한액은 얼마인가요?
반대로 평균임금이 너무 낮게 나올 경우, 최저임금 보정 규정이 적용됩니다. 2025년 최저임금은 시급 10,030원이며, 이를 하루 8시간 기준으로 계산하면 80,240원입니다. 여기에 실업급여 보정률(80%)을 적용하면 64,192원이 나옵니다.
따라서 하루 실업급여는 아무리 낮아도 최소 64,192원 이상 보장됩니다. 이것이 하한액입니다.
총 수급액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실업급여 총액 = 구직급여일액 × 소정급여일수 입니다.
- 예) 하루 66,000원을 받는 경우
- 지급일수 150일이라면 → 총액 9,900,000원
지급일수는 연령과 가입기간에 따라 120일에서 최대 270일까지 달라지므로, 본인 상황을 고려해야 합니다.
실업급여 상·하한액을 비교하면 어떤 의미가 있나요?
상한액과 하한액은 제도의 안전장치 역할을 합니다. 고소득 근로자는 상한액 때문에 기대보다 적게 받을 수 있지만, 저소득 근로자는 하한액 덕분에 최저임금 수준의 보장이 이루어집니다. 즉, 실업급여는 소득 재분배 성격도 가지고 있습니다.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고용보험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실업급여 모의계산기를 제공합니다. 퇴직 전 3개월 임금 총액을 입력하면 예상 일일급여와 지급일수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리
2025년 실업급여는 하루 최소 64,192원, 최대 66,000원 사이에서 산정됩니다. 여기에 개인별 지급일수를 곱하면 총액이 나오죠. 결국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이직 전 평균임금에 따라 달라지지만, 상·하한선 덕분에 과도한 편차는 줄어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