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복비 계산 방법, 중개 수수료 전세 월세 매매

아파트 복비 계산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아파트를 사고팔거나 전세·월세 계약을 할 때 가장 많이 궁금해하는 부분이 바로 ‘복비(중개수수료)’입니다. 거래 금액이 커질수록 수수료 차이도 커지기 때문에, 계약 전에 미리 계산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부동산 복비 계산기 공식과 함께, 매매·전세·월세별 수수료 요율과 부가세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아파트 복비 계산

복비(중개수수료)란 무엇인가요?

부동산 복비는 공인중개사가 거래를 중개한 대가로 받는 수수료입니다. 정식 명칭은 ‘중개보수’이며, 국토교통부 및 시·도 조례로 상한요율이 정해져 있습니다. 즉, 부동산마다 금액을 마음대로 정할 수 없으며, 요율표에 따라 산정됩니다.

계산 공식은 어떻게 되나요?

가장 기본적인 복비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매매/전세: 거래금액 × 상한요율
  • 월세: (보증금 + 월세 × 100) × 상한요율

계산된 금액이 각 구간의 한도액을 초과하면, 한도액까지만 청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개업자가 일반과세자인 경우에는 부가세(10%)가 별도로 붙습니다.

2025년 기준 아파트 매매 복비 요율표

거래금액상한요율한도액
5,000만 원 미만0.6%25만 원
5,000만~2억 미만0.5%80만 원
2억~9억 미만0.4%
9억~12억 미만0.5%
12억~15억 미만0.6%
15억 이상0.7%

예를 들어 6억 원짜리 아파트를 매매할 경우, 6억 × 0.4% = 240만 원이 최대 중개보수입니다. 여기에 부가세 10%를 더하면 최종 복비는 약 264만 원이 됩니다.

전세·월세 거래 시 중개 수수료

전세나 월세 계약은 금액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요율표가 적용됩니다.

거래금액상한요율한도액
5,000만 원 미만0.5%20만 원
5,000만~1억 미만0.4%30만 원
1억~6억 미만0.3%
6억~12억 미만0.4%
12억~15억 미만0.5%
15억 이상0.6%

전세의 경우 단순히 보증금에 요율을 곱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보증금 3억 원 전세 계약이라면 3억 × 0.3% = 90만 원이 복비가 됩니다.

월세는 환산보증금을 구한 뒤에 계산합니다. 예: 보증금 1,000만 원 + 월세 50만 원 → 환산보증금 = 1,000만 + (50만 × 100) = 6,000만 원 요율 0.4% 적용 시 복비는 약 24만 원입니다.

부가세는 꼭 내야 하나요?

부동산 중개수수료에는 부가가치세가 붙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과세자인 중개업소는 복비에 10% 부가세를 추가로 청구할 수 있고, 간이과세자이거나 면세사업자인 경우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계약서에 ‘부가세 포함 금액’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복비 절감 팁

  • 거래 전 반드시 ‘상한요율표’를 확인하세요.
  • 복비는 협의 가능하므로, 중개보수 할인 여부를 직접 문의하세요.
  • 동일 단지 내 복수 중개업소 견적을 비교하면 수수료 차이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부가세 포함 금액으로 견적을 받아야 실제 비용을 정확히 비교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 복비 계산기

복비는 거래금액이 클수록 부담이 크지만, 미리 계산해두면 예산을 훨씬 정확하게 잡을 수 있습니다. 계산기 코드를 직접 웹사이트에 삽입해두면 방문자들도 실시간으로 수수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