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1 업그레이드 안되는 경우 대처 방법

업그레이드 하라는데, 왜 내 컴퓨터는 안 되죠? 무료로 된다던데요? 날짜가 지나서인가요? 요즘 윈도우 11로 넘어가려다 이런 의문을 갖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차근차근 알려드리겠습니다.

윈도우11 업그레이드 안되는 경우

아직 윈도우10이신 분들 설정>Windows 업데이트 들어가면 아래처럼 나오실겁니다.

현재 사용중인 Windows 버전이 지원 종료일에 도달했습니다.

그리고 오른쪽에 보시면

pc는 현재 윈도우11을 실행하기 위한 최소 시스템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습니다.

라고 떠 있죠. 뭐 때문에 안 되는지 확인해봐야합니다.

그걸 확인하려면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공식으로 제공하는 pc 헬스 체크 앱으로 검사를 해야 합니다. 근데 이 앱이 꽁꽁 숨겨져 있어서 찾기가 진짜 힘듭니다. 저도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사이트 질문 답변 뒤져서 겨우 다운 받았습니다.

앱을 다운 받은 후에 PC Health Check를 실행하세요. 이걸 설치 후 실행하면 “Windows 11과 호환됨 / 안 됨” 여부를 정확히 알려줍니다. 저는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윈도우11 업그레이드 불가 원인

🚫 1. CPU 세대가 너무 오래됨

예를 들어 i5-4690, i7-4790 같은 4세대 하스웰 CPU는 Windows 11이 공식 지원하지 않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8세대 이상 CPU부터만 정식으로 인증을 줍니다. 즉, CPU만 바꾸면 되는 게 아니라 메인보드와 메모리까지 같이 바꿔야 합니다. (DDR3 → DDR4로 세대가 달라서 호환이 안 됩니다.)

💰 새 부품으로 맞추면 대략 30만~40만 원 정도 들어갑니다. 그래서 단순히 ‘업데이트’로 해결되는 문제는 아닙니다.

🔒 2. TPM 2.0 보안칩이 없음

Windows 11은 TPM 2.0이라는 보안 기능을 필수로 요구합니다. 하지만 구형 메인보드는 이 칩이 아예 없거나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바이오스에서 TPM 설정을 켜더라도 CPU가 너무 오래됐다면 여전히 업그레이드 불가능하다는 메시지가 뜹니다.

현실적인 해결방법 추천 3가지

1. 윈도우 10 그냥 쓰기

  1. 설정으로 들어가세요
  2. 확장된 보안 업데이트에 등록 탭으로 가세요
  3. 지금 등록 버튼을 누르세요.
  4. 그러면 아래 사진과 같이 윈도우10 마지막 업데이트를 해줍니다.
  5. 2028년까지 버티면서 그냥 씁니다.


2. 부품 교체 후 정식 업그레이드


CPU·메인보드·RAM을 세트로 교체하면 Windows 11 완벽 호환됩니다. 새 기능, 새 인터페이스를 공식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예산은 최소 40만 원대부터 시작합니다.

3. 비공식 우회 설치


Rufus 같은 툴로 ‘TPM 2.0 체크 해제’ USB를 만들어 설치 가능하지만, 공식 지원이 아니기 때문에 보안 업데이트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컴퓨터를 자주 쓰는 일반 사용자라면 추천하지 않습니다.

    ✅ 결론

    당장 급하지 않다면 Windows 10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보안 지원도 남아 있고,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여전히 완벽하게 돌아갑니다. 언제든 새 PC로 바꾸게 되면, 그때는 자동으로 Windows 11 정식 설치가 가능합니다.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