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계약, 만료 전 ‘시세 협의’만 했는데… 묵시적 갱신 인정될까?

전·월세 계약이 끝나기 전에 임대인과 임차인 간에
“만료 시점에 시세를 보고 협의하자”는 말만 오갔다면,
그 계약은 자동으로 갱신되는 걸까요? 아니면 종료로 봐야 할까요?

특히 임대인이 만료 2개월 전에 “계약을 종료하고 시세를 보고 협의하자”고 말했지만,
임차인이 구체적인 금액 제시나 거절의사를 하지 않았다면,
이런 경우는 묵시적 갱신이 될 수 있을지 여부가 중요한 쟁점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토대로
묵시적 갱신 요건과 그 예외,
그리고 임대인·임차인의 입장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전세 계약, 만료 전 시세 협의.. 자동 갱신일까?


✅ 묵시적 갱신이란?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 제1항에 따르면,
계약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양측 모두 아무런 해지 의사표시 없이 조용히 지나가면,
기존 계약과 동일한 조건으로 자동 갱신된 것으로 봅니다. 이를 ‘묵시적 갱신’이라 합니다.


📌 묵시적 갱신의 3대 조건

  1. 계약 만료 시점이 도래했음
  2. 임대인 또는 임차인 중 어느 누구도 ‘서면 또는 구두로 계약 종료 의사 표시’를 하지 않았음
  3. 임차인이 여전히 부동산을 점유하고 있고, 임대인이 이를 용인했음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건
계약 종료 1~6개월 전 사이에 해지 의사 표시가 있었는가입니다.


❓ “시세 보고 협의하자”는 해지 의사표시인가?

질문에서처럼 임대인이 계약 만료 2개월 전에
“계약 만료가 도래했으니 시세를 보고 협의해보자”고 말했다면,
이는 명확히 보면 **‘계약 종료 통보’**의 성격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임대인이
▶ 계약이 만료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 새로운 조건을 협의하자고 했다는 점에서
기존 계약의 ‘자동 갱신’ 의도를 부정한 셈이 되기 때문입니다.

즉, 해지 통보로 볼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습니다.


💬 그런데 임차인이 응답하지 않으면 묵시적 갱신일까?

이게 핵심 쟁점입니다.
임차인이 ‘2개월 전까지’ 구체적인 재계약 금액을 제시하지 않고
그냥 살고 있었다면, 임대인은 **“기한 내 협의가 되지 않았으니 기존 계약 종료”**라고 주장할 수 있을까요?

법적으로는 임대인의 종료 의사표시가 있었다면, 임차인의 침묵은 곧 자동 갱신이 아닙니다.
특히 그 의사표시가 기간 내에 명확히 있었다면 말이죠.

👉임대인 사망 시 보증금 어떻게 돌려 받을까

👉다세대 주택 전세 보증보험 버팀목 대출 거절 해결하기


⚖ 판례나 실무상 판단 기준

법원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 임대인이 만료 전 계약 종료 의사표시를 했는가?
  • 그 의사표시는 묵시적 갱신을 배제할 만큼 분명한가?
  • 양측이 이후 협의에 나섰는가, 또는 소극적으로 반응했는가?
  • 실제로 보증금 증액이나 조건 협의가 오갔는가?

단순히 ‘시세 보고 협의하자’는 문장은
▶ 해지의사로 해석될 수 있으며,
▶ 그 이후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책임은 임차인에게도 있다는 논리가 가능합니다.


💡 임대인·임차인 각각의 실무 팁

📌 임대인이라면?

  • 계약 종료 의사를 문자로 남기거나 내용증명으로 발송하세요.
  • “계약 갱신 의사가 없습니다. 시세 협의가 되지 않으면 계약은 만료일로 종료됩니다.”
    라는 문구를 2개월 이전에 명확하게 통지하는 게 중요합니다.

📌 임차인이라면?

  • 협의 요청이 오면 반드시 정해진 기한 내에 입장을 밝히세요.
  • 묵묵히 거주만 하면, 임대인이 나중에 묵시적 갱신 부정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 협의 기록(카톡, 문자 등)은 캡처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요약

  • ‘시세를 보고 협의하자’는 말은 통상 계약 종료 의사표시로 간주될 수 있음
  • 임차인이 기한 내 입장을 밝히지 않은 것은 ‘묵시적 갱신’ 근거로 보기 어렵다는 판례도 있음
  • 묵시적 갱신 방지를 원한다면 구체적이고 문서화된 통지가 가장 중요
  • 협의가 결렬되면 자동 연장이 아니라, 계약 종료 후 퇴거 요청도 가능

📝 마무리 한 줄 조언

묵시적 갱신은 말 그대로 **”아무 말 없을 때”**만 발생합니다.
“시세를 보고 협의하자”는 말이 오갔다면, 이미 묵시적 갱신은 깬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이런 민감한 상황에선 서면 통보와 기록 남기기가 가장 강력한 방패가 됩니다.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