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이 앞으로 65세까지 올라간다더라.” 이제 단순한 소문이 아닙니다. 정부가 단계적으로 정년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1968년생은 그 변화를 직접 겪게 될 중요한 세대가 됐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68년생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정년연장의 영향을 받게 되는지 자세히 알아볼게요.
정년이 늘어나는 진짜 이유
현재 대부분의 직장 정년은 60세입니다. 하지만 국민연금은 만 65세부터 나오죠. 퇴직하고 나서 5년 동안은 소득이 ‘0’인 상태가 되기 쉽습니다. 그래서 정부는 이 간격을 줄이기 위해 정년을 65세까지 단계적으로 늘리는 정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건 단순히 은퇴 시점을 늦추는 게 아니라, 퇴직 후 생기는 소득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현실적인 제도입니다. 즉, “연금 받을 때까지 끊기지 않게 일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예요.
68년생은 어떤 영향을 받나?
68년생은 지금 만 57세 전후로, 정년연장이 본격 시행되는 시기와 정확히 맞물립니다. 즉, 63세~65세로 정년이 늘어나는 ‘적용 중심 세대’가 바로 68년생입니다.
| 단계 | 정년 나이 | 적용 예상 시기 | 68년생 적용 시점 |
|---|---|---|---|
| 1단계 | 63세 | 2027년 전후 | 2031년경 |
| 2단계 | 64세 | 2028년 ~ 2032년 | 2032년경 |
| 3단계 | 65세 | 2033년 이후 | 2033년 이후 완전 적용 |
즉, 68년생은 정년 64세~65세 체계가 정착되는 시기에 은퇴를 맞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앞 세대보다 한발 늦게 태어났지만, 새 제도의 가장 큰 수혜 세대가 되는 셈이죠.
정년연장이 가져올 변화
- 퇴직 시점이 평균 4~5년 늦어짐 → 더 오래 소득 유지 가능
- 임금피크제나 재고용제도 확대 → 근무 형태 다양화
- 퇴직금과 연금 수령 시점 재조정 → 재무 계획 수정 필요
즉, “오래 일하라”가 아니라, “소득이 끊기지 않게 연결하자”는 방향으로 제도가 바뀌는 겁니다.
기업별 도입 시점은 다를 수 있다
공공기관이나 대기업은 정년연장 적용이 빠르겠지만, 중소기업은 도입 시점이 다소 늦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68년생이라면 자신이 근무하는 직장의 정년 규정을 확인해 두는 게 좋습니다. 또한 정년이 늦춰지면 그만큼 건강 관리와 직무 역량 유지도 중요해집니다.
68년생에게 필요한 준비 3가지
- 퇴직 후 재무 계획 점검: 정년이 늘어나면 수입 구조도 달라집니다.
- 국민연금 수급 시점 확인: 만 65세 개시 기준으로 계산.
- 직무 능력 관리: 60대 중반까지 근무 가능한 체력·기술 확보 필요.
핵심 요약
- 68년생은 정년연장 제도의 핵심 적용 세대
- 2033년 이후에는 65세 정년이 완전히 정착될 전망
- 퇴직과 연금 사이의 소득 공백을 없애는 제도로 의미가 큼
이제는 단순히 “언제 퇴직하나”보다, “언제까지 안정적으로 소득을 유지할 수 있나”가 더 중요한 시대입니다. 정년연장은 그 질문에 대한 정부의 답이며, 68년생에게는 새로운 노후 준비의 기준점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