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하반기 정부가 추진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2차 민생지원금)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되지만, 실제 지원액은 가구 규모와 소득 수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특히 4인 가구는 가장 보편적인 세대 구성으로, 이번 지원에서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가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4인가족 기준 지원액과 다른 가구 규모와의 차이를 비교해 정리합니다.
4인가족이 받을 수 있는 기본 지원액
민생지원금은 1인당 지급액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4인가족의 경우에는 인원 수에 따라 단순 합산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 1차 지급: 전 국민 1인당 15만 원 (차상위 30만 원, 기초수급자 40만 원)
- 비수도권: 인당 3만 원 추가
- 농어촌 인구감소지역(84개 시·군): 인당 5만 원 추가
- 2차 추가 지급: 국민 90%에게 1인당 10만 원 추가 지급 (상위 10% 제외)
4인가족 가구별 최종 수령액
4인 가구 기준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은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 1차 지급 (4인) | 2차 추가 (4인) | 최종 합계 |
---|---|---|---|
상위 10% | 60만 원 (비수도권 72만 원, 농어촌 80만 원) | – | 60만 원 (72만~80만 원) |
일반 국민 | 60만 원 (비수도권 72만 원, 농어촌 80만 원) | +40만 원 | 100만 원 (112만~120만 원) |
차상위·한부모 | 120만 원 (비수도권 132만 원, 농어촌 140만 원) | +40만 원 | 160만 원 (172만~180만 원) |
기초생활수급자 | 160만 원 (비수도권 172만 원, 농어촌 180만 원) | +40만 원 | 200만 원 (212만~220만 원) |
즉, 일반 4인 가구의 경우 최소 100만 원, 최대 12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으며, 기초수급 가구는 최대 22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가구원 수에 따른 차이
4인 가구뿐 아니라, 가구원 수에 따라 총 지원액은 크게 달라집니다.
가구원 수 | 일반 국민 최종 합계 | 기초수급자 최종 합계 |
---|---|---|
1인 가구 | 25만 원 (28만~30만 원) | 50만 원 (53만~55만 원) |
2인 가구 | 50만 원 (56만~60만 원) | 100만 원 (106만~110만 원) |
3인 가구 | 75만 원 (84만~90만 원) | 150만 원 (159만~165만 원) |
4인 가구 | 100만 원 (112만~120만 원) | 200만 원 (212만~220만 원) |
5인 가구 | 125만 원 (140만~150만 원) | 250만 원 (265만~275만 원) |
이처럼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최종 지급액은 크게 늘어나며, 기초생활수급 가구는 일반 가구보다 두 배 이상 지원을 받게 됩니다.
소득 상위 10%는 제외
중요한 점은, 소득 상위 10% 가구는 2차 지급에서 제외된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4인 가구라고 하더라도 소득이 상위 10%에 해당하면 1차 지급분만 받을 수 있고, 최종 지원액은 최대 80만 원 수준에 그칩니다.
반면 소득 하위 90%에 속한다면 일반 가구는 100만 원 이상, 기초수급 가구는 200만 원 이상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기준과 절차
- 세대주 중심 신청, 세대원 전체가 반영
- 미성년자는 세대주 신청, 미성년 세대주는 직접 신청 가능
- 자격 판정은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기준으로 자동 검증
4인 가구일 경우 세대주가 신청을 하면 세대원 전체 인원(4명)이 자동 반영되어 총 지원액이 확정됩니다.
사용 기한과 조건
- 사용처: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연 매출 30억 원 이하 매장
- 사용 기한: 2025년 11월 30일(일)까지
따라서 4인가족 지원액이 아무리 커도, 정해진 기한 내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 소멸되므로 반드시 기간 내 사용해야 합니다.
핵심 요약
- 4인 가구 일반 국민: 최소 100만 원, 최대 120만 원
- 4인 가구 기초수급자: 최대 220만 원
- 소득 상위 10% 가구는 2차 제외, 1차만 지급
- 세대주 중심 신청, 세대원 수만큼 합산 지급
- 사용 기한: 2025년 11월 30일까지
마무리
2차 민생지원금에서 4인 가구는 최소 100만 원부터 최대 220만 원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 기준과 거주 지역, 가구원 수에 따라 세부 금액이 달라지므로, 본인이 속한 조건을 반드시 확인한 뒤 신청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