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자영업자 건강보험료율 7.19% 인상 | 지역가입자 부담액은?

2026년 건강보험료율7.19%로 확정되었습니다. 직장인은 회사와 반반 나누어 내지만, 자영업자는 지역가입자이므로 전액을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따라서 같은 요율 인상이라도 자영업자가 체감하는 무게는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인상이 자영업자에게 어떤 의미인지, 실제로 얼마나 더 내야 하는지 정리했습니다.

2026년 자영업자 건강보험료율 7.19% 인상

왜 건강보험료율이 7.19%로 올랐나?

  • 최근 2년간 보험료율 동결(2024·2025년 7.09%)로 재정 기반 약화
  • 고령화·저성장 기조로 늘어나는 의료 지출 대비 필요
  • 필수의료·지역 의료 강화 등 정부 국정과제 재원 마련

정부는 고물가 상황에서 국민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0.1%p(1.48%)만 인상했다고 밝혔습니다.

자영업자 건강보험료는 어떻게 산정되나?

자영업자는 지역가입자로 분류됩니다. 건강보험료는 소득, 재산, 생활 수준 등을 점수화해 산정하며, 점수당 금액은 2026년 기준 211.5원입니다. 즉, 개인별 점수 × 211.5원이 매달 내야 하는 건강보험료입니다.

계산 예시
B씨 지역가입자 점수 450점이라면
→ 건강보험료 = 450 × 211.5원 = 95,175원/월
(2025년보다 소폭 인상된 금액)
※ 점수는 소득·재산·차량 등 여러 요소를 반영해 산정됩니다.

평균적으로 얼마가 올랐나?

  • 2025년 평균 지역가입자 보험료: 88,962원/월
  • 2026년 평균 지역가입자 보험료: 90,242원/월
  • 인상액: 약 +1,280원/월
  • 연간 추가 부담: 약 +15,360원

직장인보다 인상 폭은 낮지만, 전액 본인 부담 구조라는 점에서 체감 부담이 다릅니다.

자영업자에게 체감 부담이 큰 이유

  1. 분담 구조 없음: 직장인은 회사가 절반을 내주지만, 자영업자는 전액 본인 부담
  2. 점수 체계 영향: 소득 외에 주택·자동차 등 재산이 점수에 포함되어 ‘실제 소득 대비 보험료가 높다’는 불만 존재
  3. 소득 변동 민감: 매출이 줄어도 산정 기준이 늦게 반영되면 보험료는 당장 줄지 않음

보험료는 오르지만, 보장성은 확대된다

정부는 단순히 국민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것이 아니라, 모인 재정을 필수 의료 서비스와 희귀질환 보장 강화에 활용한다고 밝혔습니다. 대표 사례가 다발골수종 치료제 다라투무맙 급여 확대입니다.

그간 환자 1명이 연간 약 8,320만 원을 부담하던 치료비가 2025년 9월부터는 416만 원 수준(본인부담 5%)으로 줄어듭니다. 이는 “모두가 조금씩 더 내서, 필요한 환자는 수천만 원을 아낄 수 있게 하는 구조”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자영업자가 꼭 확인해야 할 점

  • 점수 산정 내역 확인: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내 점수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확인 필요
  • 소득·재산 변동 신고: 소득 감소나 재산 처분이 있다면 즉시 신고해야 보험료를 줄일 수 있음
  • 납부 유예·분할납부 제도: 일시적으로 납부가 어렵다면 공단에 신청 가능

정리

  • 2026년 건강보험료율: 7.19%
  • 지역가입자 점수당 금액: 211.5원
  • 평균 인상액: +1,280원/월 (약 15,360원/년)
  • 특징: 전액 본인 부담 구조라 체감 부담 큼
  • 의미: 인상분은 필수·중증질환 보장성 강화로 이어짐

Tip | 내 보험료 직접 확인하는 법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https://www.nhis.or.kr) 접속 → 개인 로그인 → 보험료 조회/납부 메뉴에서 매월 산정 내역 확인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