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최저시급이 10,320원으로 확정되었다는 소식 들으셨나요? 이는 2025년 대비 460원 인상된 수치이며, 근로자와 고용주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화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6 최저시급 확정과 함께 시급에서 월급 환산 기준, 결정 과정, 그리고 실제 수령액 계산까지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2026 최저시급 확정 요약
최저임금 시급, 얼마로 결정됐나요?
고용노동부는 2026년도 법정 최저임금을 시급 10,320원으로 고시했습니다. 이는 2025년 시급 9,860원보다 4.7% 인상된 수치입니다.
- 2025년 시급: 9,860원
- 2026년 시급: 10,320원
- 인상폭: +460원
월급 기준으로 환산하면 얼마인가요?
주 40시간 근무 기준, 주휴수당을 포함한 법정 월 환산 기준은 209시간입니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월급은 다음과 같습니다:
- 10,320원 × 209시간 = 2,157,000원
따라서 2026년 최저임금 월급 기준은 2,157,000원입니다. 이 금액은 세전 기준이며, 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장기요양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은 약 1,930,000원 수준입니다.
최저임금 결정 배경과 기준
어떻게 결정되었나요?
최저임금은 매년 고용노동부 산하 최저임금위원회에서 사용자 위원, 근로자 위원, 공익 위원이 참여해 결정합니다. 2026년도 최저임금은 약 3개월 간의 논의를 거쳐 2025년 7월 중순 최종 확정되었습니다.
이번 결정에서 쟁점은 무엇이었나요?
사용자 측은 ‘고용 유지를 위해 동결 또는 최소 인상’을 주장했으며, 근로자 측은 ‘생계비 상승을 반영해 11,000원 이상 인상’을 요구했습니다. 결국 공익위원의 조정안에 따라 10,320원으로 확정된 것입니다.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120% 이하,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은?
시급과 월급 기준 차이,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주휴수당이 포함된 금액인가요?
네, 209시간 기준에는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한 근로자는 1일치 주휴수당이 지급되며, 이를 반영한 월급이 2,157,000원입니다.
단시간 아르바이트에게도 동일 적용되나요?
그렇습니다. 고용형태, 업종, 국적과 무관하게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한 최저시급이 적용됩니다. 주휴수당 여부는 근무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기본 시급 10,320원은 반드시 보장되어야 합니다.
2025년과 비교한 최저임금 변화
년도 | 최저시급 | 월급 환산(209시간) |
---|---|---|
2023년 | 9,620원 | 2,010,580원 |
2024년 | 9,860원 | 2,061,540원 |
2025년 | 9,860원 | 2,061,540원 |
2026년 | 10,320원 | 2,157,000원 |
최저시급 관련 유의사항
2026년 최저시급 위반 시 어떻게 되나요?
최저임금을 위반하면 3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시급 계산 시 주휴수당을 누락하거나, 근무 시간을 허위로 기록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2026년 알바 시급표 | 주휴수당 포함 월급 실수령액 계산
최저시급 계산기를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근로복지공단, ‘알바몬’, ‘사람인’ 등 주요 취업 포털에서도 최저시급 및 월급 자동 계산기가 제공됩니다. 특히 세후 실수령액 계산 기능이 있는 계산기를 활용하면 더 정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