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70%~140% 기준표 총정리

2025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70%~140% 기준표 총정리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정부 복지제도를 알아보다 보면 자주 마주치는 기준이 있습니다. 바로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대비 ○% 이하’라는 문구인데요. 많은 분들이 “우리 집이 그 소득에 해당되는지” 정확히 알지 못해 혼란을 겪곤 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의 70%부터 140%까지 구간별 표를 제공하고, 각 수치가 어디에 쓰이는지도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이란?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은 통계청이 매년 조사하는 수치로, 전국 주요 도시의 상용근로자 가구의 평균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 수치는 복지, 대출, 의료비 지원 등 공공제도의 소득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기준중위소득’이 복지의 절대적 기준이라면,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은 내 집 마련, 긴급복지, 청년 전월세 지원 등에서 활용되는 비교 기준입니다.

2025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70~100% 표

가구원 수70%80%90%100%
1인2,085,000원2,380,000원2,677,000원2,973,000원
2인3,435,000원3,925,000원4,417,000원4,910,000원
3인4,470,000원5,110,000원5,750,000원6,392,000원
4인5,240,000원6,000,000원6,760,000원7,520,000원
5인5,805,000원6,636,000원7,470,000원8,295,000원

위 수치는 청년월세지원, 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 긴급복지지원 등에서 사용되는 기준입니다. 특히 70% 이하일 경우 저소득층으로 분류되어 다양한 국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110~140% 표

가구원 수110%120%130%140%
1인3,270,000원3,568,000원3,865,000원4,162,000원
2인5,400,000원5,892,000원6,384,000원6,876,000원
3인7,030,000원7,670,000원8,310,000원8,950,000원
4인8,270,000원9,030,000원9,790,000원10,550,000원
5인9,125,000원9,955,000원10,785,000원11,615,000원

이 상위 구간은 신혼부부·다자녀 전세대출 우대금리, 생애최초 특별공급 청약, 자산형성지원제도 등 중산층 복지정책에서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특히 120% 이하는 혜택이 가장 많이 집중된 구간입니다.

이 수치는 어디에 쓰이나요?

  • 청년 월세지원: 100% 이하
  • 긴급복지 생계지원: 75% 이하
  • 신혼부부 전세대출: 140% 이하
  • 내집마련 디딤돌대출: 100~120% 이하
  • 생애최초 특별공급 청약: 130% 이하

같은 제도라도 지자체마다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지자체 공고문을 꼭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6 기준중위소득 표 모의계산기

마무리하며

2025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기준표는 단순한 숫자 나열이 아닙니다. 이 수치를 기준으로 우리 가족의 복지 자격과 혜택 가능성이 정해지기 때문입니다. 위 표를 참고해 지금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는지 꼭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