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025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비교표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복지 혜택이나 정책 지원을 검색하다 보면 꼭 등장하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인데요. 이 수치는 각종 제도의 기준선으로 활용되며, 해마다 바뀝니다.
특히 2024년과 2025년은 경기 변동과 정부 예산조정의 여파로 소득 기준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연도의 수치를 표로 비교하고, 어떤 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도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이란?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은 전국 5인 이상 도시지역 사업체에 고용된 상용근로자 가구의 평균 소득을 의미합니다. 통계청과 고용노동부의 자료를 바탕으로 산출되며, 주로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됩니다.
- 청년월세지원, 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 등 주거지원 기준
- 긴급복지 생계비, 교육비 등 저소득층 지원 여부 판단
- 자산형성지원, 내 집 마련 디딤돌대출 등의 자격 확인
2024년 vs 2025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비교표
가구원 수 | 2024년 | 2025년 | 증감액 |
---|---|---|---|
1인 | 2,867,000원 | 2,973,000원 | +106,000원 |
2인 | 4,762,000원 | 4,910,000원 | +148,000원 |
3인 | 6,230,000원 | 6,392,000원 | +162,000원 |
4인 | 7,340,000원 | 7,520,000원 | +180,000원 |
5인 | 8,100,000원 | 8,295,000원 | +195,000원 |
전반적으로 약 2%~2.5% 수준의 상승이 있었으며, 이는 물가 상승률 및 소득 증대를 반영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증가율로 본 2025년 소득 변화폭
가구원 수 | 전년 대비 상승률 |
---|---|
1인 | 3.7% |
2인 | 3.1% |
3인 | 2.6% |
4인 | 2.4% |
5인 | 2.4% |
저소득층 복지의 기준이 되는 70% 이하 가구는 수치 상승으로 인해 자격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매년 갱신된 수치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 수치는 어디에 활용되나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에서 도시근로자 소득 기준을 확인합니다.
- 청년월세지원: 100% 이하
- 긴급복지지원: 75% 이하
- 신혼부부·다자녀 전세대출: 140% 이하
- 자산형성지원제도: 120% 이하
- 생애최초 주택 청약: 130% 이하
같은 제도라도 지자체별로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지역 공고문을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70%~140% 기준표 총정리
정리하며
2024년과 2025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은 소폭 상승했지만, 기준선을 넘는 순간 많은 제도에서 제외될 수 있기 때문에 내 소득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매년 확인이 필요합니다.